컴퓨터 인터넷 속도 측정과 최적화하는 TIP
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
컴퓨터에서 인터넷의 속도를 측정하고 최적화를 해주는 팁 정보



PC를 사용하다 보면 부품의 성능이나 회선의 품질이 궁금해지는 경우가 있는데, 이럴 땐 전용 도구를 써서 테스트를 해보면 됩니다. 물론 선택할 수 있는 도구의 종류와 기능을 다루는 방법을 정확하게 알아두어야 컴퓨터 인터넷 속도 측정도 깔끔하게 진행을 할 수 있겠죠.


etc-image-0


그래서 이번에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웹 도구를 사용해서 속도를 가늠해보는 방법과, 회선 품질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기본적인 인터넷 최적화에 대한 내용들을 엮었으니, 혹시 필요로 하던 정보였다면 읽고 적용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




보통 NIA를 활용해서 빠른 정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은데, 해당 페이지는 모듈을 준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 그래서 저는 [beta.speedtest.net]를 이용할 것을 권장합니다.


etc-image-1




주소를 입력하고 페이지가 로딩이 되면 GO를 누른 뒤 기다리면 됩니다. 그럼 페이지에서 과부하를 걸어주며, 최대 수준을 확인하게 됩니다. 작업이 끝날 때까지 그냥 기다리기만 하면 되죠.


etc-image-2




결괏값이 출력되었다면, 사용하는 회선에서 보장하는 최저 품질보다 부족한 수준이 아닌지 확인을 해보시면 됩니다.


etc-image-3




아래 이미지는 NIA에서 제공하는 평균 속도인데, 요약을 하자면 아무리 느려도 다운로드와 업로드를 할 땐 60Mbps는 나와줘야 한다고 볼 수 있겠군요.


etc-image-4




문제가 되는 수준은 아니지만 사용하는데 답답한 느낌이 있다면 개선을 해주어야 합니다. 보통은 컴퓨터 최적화를 해주는 것이 인터넷 속도 최적화를 하는 방법이죠. 즉, 최적의 컨디션을 유지해주는 툴을 쓰면 됩니다.


etc-image-5




종류가 너무 많아서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면 Wise Care 365와 Glary Utilities를 함께 구동해볼 것을 권장합니다. 프리 버전을 쓸 때 두 가지를 동시에 굴리면, 제한된 고유 기능을 보완할 수 있고 PC도 엄청 깔끔해지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.


etc-image-6


여담으로 각각의 툴은 설치하고 실행하면 익숙한 언어가 지원되니, 사용하는데 어려움은 전혀 없을 것입니다. 그럼 컴퓨터 인터넷 속도 측정을 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이쯤에서 갈무리를 하겠습니다. 부족한 내용이었지만 조금은 보탬이 될 수 있었길 바랍니다.